Stop Thinking, Just Do!

Sungsoo Kim's Blog

Karush-Kuhn-Tucker Condition

tagsTags

25 March 2018



Karush-Kuhn-Tucker Condition

Concept

Karush-Kuhn-Tucker 조건은 primal, dual solution과의 관계에서 도출된 조건인데요. 최적화 이론과 실제 구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duality와 관련해서는 이곳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KKT 조건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Necessity

다음과 같은 명제가 성립합니다. primal, dual, duality gap, lagrange dual function 등 개념과 관련해서는 이곳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zero duality라면 $f\^*=g$입니다. 그런데 $x$-star는 primal problem의 목적함수 $f$의 optimal value입니다. 또한 $u$-star, $v$-star는 dual problem의 목적함수 $g$의 optimal value입니다. 따라서 다음 식처럼 쓸 수 있습니다.

위 식 우변을 라그랑지안 듀얼 함수 $g$의 정의대로 쓰면 다음 식과 같습니다.

$L$은 우리가 구하려는 미지수 $x$로 편미분한 식을 0으로 만드는 지점에서 최소값을 지닙니다. 그런데 전제조건에서 이미 언급했듯 primal problem의 해는 $x$-star이기 때문에 $L$을 $x$로 편미분한 결과를 0으로 만드는 지점은 바로 $x$-star가 될 것입니다. 이는 KKT 조건의 stationary condition을 만족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를 식으로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primal problem과 라그랑지 함수 $L$, 라그랑지안 듀얼 함수 $g$ 사이에는 다음 부등식이 성립합니다. (왜 아래 식이 도출되는지는 이곳 참고) 이를 우리가 들여다보던 식에 맞춰서 다시 적으면 다음 식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처음 항, 즉 $f(x\^*)$가 마지막에 다시 유도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가 논의하고 있는 명제의 전제조건을 만족할 경우 위 모든 부등식이 사실상 등식과 같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경우 다음 식이 모두 0이 되어야 등식을 만족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모든 식에 등호가 붙으려면 다음 두 개 항이 모두 0이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primal problem를 다시 살펴보면 $l_j$는 모두 0이기 때문에 $B$에 관련된 항들은 본래 모두 0입니다. 문제는 $A$인데요. $A$의 경우에도 모두 0이 되어야 등식을 만족합니다. 다시 말해 KKT 조건의 complementary slackness를 만족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위 명제의 전제조건이 만족된다면 KKT 조건 또한 만족하게 됩니다.

Sufficiency

다음과 같은 명제가 성립합니다.

$g$를 정의대로 적으면 아래 식의 첫 줄이 됩니다. 아울러 $x$-star, $u$-star, $v$-star는 KKT 조건을 만족한다고 했으므로 KKT 조건의 stationarity condition에 의해 $L(x,u\^,v\^)$는 $x$-star에서 최소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합니다.

KKT 조건의 complementary slackness에 따라 아래 식 좌변의 두번째 항이 모두 0입니다. primal problem을 다시 살펴보면 $l_j$ 역시 모두 0입니다. 따라서 아래 식이 성립합니다. 바꿔 말해 $x$-star는 primal problem의 해, $u$-star, $v$-star는 dual problem의 해라는 이야기입니다.

정리

지금까지 말씀드린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strong duality를 만족하는 경우 위 두 명제가 동치 관계를 갖습니다. (strong duality, slater’s condition 등은 이곳 참고)

SVM에 적용

마진(margin) 내 관측치를 허용하는 C-SVM을 기준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C-SVM과 관련해서는 이곳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C-SVM의 primal problem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제약식을 만족하면서 목적함수를 최소화하는 $w, b, ξ$을 찾아야 합니다.

primal problem을 바탕으로 라그랑지안 함수 $L$을 만듭니다. 제약식에 라그랑지안 승수를 곱해 목적식에 합치면 됩니다. 여기에서 라그랑지안 승수 $α, μ$를 dual variable이라고 합니다. 단 여기에서 $α, μ$는 0 이상의 부등식에 적용되는 라그랑지안 승수이므로 0 이상의 제약을 갖습니다.

여기에서 우리가 사용할 조건은 KKT의 충분조건입니다. $w, b, ξ, α, μ$가 KKT 조건을 만족한다면, $w, b, ξ$는 primal problem의 최적해, $α, μ$는 dual problem의 최적해가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다시 말해 약간 풀기 어려운 primal problem을 풀기 쉬운 dual problem으로 바꿔 풀어도 최적해를 구한다는 점에선 같은 의미라는 뜻이 되는거죠. KKT 조건 가운데 stationarity 조건은, 최적화하려는 미지수로 편미분한 식이 0이 된다는 조건입니다. 아래 세 개 식을 만족하게끔 $α, μ$를 구하면 stationarity 조건이 클리어됩니다.

KKT 조건 가운데 complementary slackness 조건을 클리어하려면 아래 식을 만족해야 합니다.

dual problem의 목적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stationarity 조건으로 도출된 식을 라그랑지안 함수 $L$에 넣어 정리해준 결과입니다. dual problem의 목적식과 제약식 도출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w, b, ξ, α, μ$가 KKT 조건을 만족하도록 정했기 때문에, dual problem의 최적해인 $α, μ$를 구하는 것만으로도 primal problem을 푸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comments powered by Disqus